메모내용

BlcokChain

???

누가 어떤 목적으로 블록체인을 만들었나?

누가 블록 생성 (합의) 에 참여할 수 있느냐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컨소시엄 (단체 협회) 블록체인 하이퍼 블록체인 으로 나뉜다.

블록체인적 사고

제작자가 모든것을 컨트롤 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블록체인적 사고가 필요하다. 정해진 룰 안에서, 모두가 납득하고, 변조 없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즐 길 수 있도록 최근들어 클론코딩 하면서 블록체인에 대한 개념을 잊은것 같다.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개념은 탈 중앙화 인데, 단순 데이터 베이스라고만, 거래기록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로만 생각을 한 것 같다. 지금 이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적 사고방식을 학습하는 중요한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탈 중앙화된 게임 가위바위보, 중앙의 누군가의 개입 없이, 플레이어 둘이서만 게임을 진행한다. 대부분의 보드게임 또한 그런것 같다. 딱 룰만 제시하고, 빠지는거 온라인 게임과 보드게임의 차이 온라인 게임은 그것을 관리하는 누군가, 게임을 서비스하는 중앙 시스템이 있는 반면에, 보드게임은 해당 룰만 딱 제시하고 끝나지 않는가? 그리고 그 게임을 진행하는 모두가, 게임의 과정을 감독하고 상의하고, 제지하고,.

NFT 는 사기인가?

저 그림 카피할수 있는데 뭔 NFT냐? NFT는 사기다.. -> 그럼 지폐는 ? 지폐도 인쇄기로 찍어낼 수 있는데 사기인가? -> 동전은? 동전도 금속 부어서 찍어낼 수 있는데 사기인가? 아니다. 똑같이 찍어낼 수 있지만 진짜임을 보증하는 국가가 있지 않은가? 마친가지다 NFT 도 해당 NFT 가 진짜임을, 유일무이 함을 보증할 수 있는 Hash 값, 블록체인내의 Contract 가 보증한다 그림 자체가 가치를 지닌것이 아니다. Hash 값이 가치를 지닌것이지. 그 Hash 값이 지닌 의미가 가치를 가진 것이지. ( Hash 가 지닌, 불변의, 유일무이한, 변조할수 없는 가치, 의미 ) 그 Hash 값은, NFT 를 찍어낸 누군가의 작품임을 증명하고, 내가 그 작가의 작품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 를 보증한다. 가장 중요한것은 약속, 사회적 합의. 다.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는데, 지폐가 가치 있는건, 그 지폐가 지닌 모습이 아니다. 같은 그림이 그려진 종이 쪼가리 가 가치를 지닌것이 아니다. 그 지폐가 지닌 신용성, 국가가 보증하는 신용성이 가치가 있는것이다. 이 만원 짜리 지폐는 만원 만큼의 가치를 국가가 보증한다는것, 게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게임 머니를 사고 파는데, 왜 게임 머니를 실제 돈을 주고 사고 파는가? 그 게임 머니를 게임 시스템이 그만큼의 가치르 보증하기 때문이다. 해당 게임머니 만큼 게임 내에서 누릴 수 있는 가치를 게임시스템이 보증한다. 검증가능하고, 절대 위변조 할 수 없는, 프로그래밍 코드가 보증하는, 그런 가치. 그것이 암호화폐와 NFT 가 지닌 가치이다.

니모닉 지갑에 관여하는 객체들

                
ks:{   
    "salt":"F9dFsUkPBz+P6FbqIWzq+lCdx6294kp0cxSqMUs2jKE=",
    "hdPathString":"m/0'/0'/0'",
    "encSeed":{
        "encStr":"S1ti5TjVXkT4Oa1465fjgsI6orHFz+dRAjQabu2SDztQ0yM9VgreEBYRGa5OEP4KfUDCNctBREn2ORll0ELafBRT+dj9NpNyusurJUAn0ChxF58SBPY9g/GVV6lUHmIIvKXizjYr3XbPyTlTo7v1TnyvsoTumHJkej02O/5DsO+JfSN9oQMb0g==","nonce":"juS5Cj/MlyImkt2n6nWqVQD8iay9q8NC"},"encHdRootPriv":{"encStr":"nyLQ46kbm3Ahm+F5k+TeetR00xV5vfkaqwdxDEQXCWilvSH4e5F+Y0wjuiVaAdGapBpTNMOYanmRfKr6N0theOsNQXsM9fzY3zP+Bj151hZUBPDoGVLlQADkbIMOpkbHQFK1lF99XMIcR52WvQ9KegM+BSIVHTHC13oAQLIuWw==",
            "nonce":"4ZDTIjDWRV7Ghk3bI1Z4moIe7FvUUrwu"},
            "version":3,
            "hdIndex":0,
            "encPrivKeys":{},
            "addresses":[]
}

ks.generateNewAddress(pwDerivedKey:[205,125,68,185,186,50,14,253,98,68,30,225,46,153,251,128,65,77,222,138,241,57,180,199,107,205,119,148,153,115,94,133],1)

ks.serialize{
    "keystore": "{
        \"encSeed\":
            {
                \"encStr\":\"S1ti5TjVXkT4Oa1465fjgsI6orHFz+dRAjQabu2SDztQ0yM9VgreEBYRGa5OEP4KfUDCNctBREn2ORll0ELafBRT+dj9NpNyusurJUAn0ChxF58SBPY9g/GVV6lUHmIIvKXizjYr3XbPyTlTo7v1TnyvsoTumHJkej02O/5DsO+JfSN9oQMb0g==\",\"nonce\":\"juS5Cj/MlyImkt2n6nWqVQD8iay9q8NC\"},\"encHdRootPriv\":{\"encStr\":\"nyLQ46kbm3Ahm+F5k+TeetR00xV5vfkaqwdxDEQXCWilvSH4e5F+Y0wjuiVaAdGapBpTNMOYanmRfKr6N0theOsNQXsM9fzY3zP+Bj151hZUBPDoGVLlQADkbIMOpkbHQFK1lF99XMIcR52WvQ9KegM+BSIVHTHC13oAQLIuWw==\",\"nonce\":\"4ZDTIjDWRV7Ghk3bI1Z4moIe7FvUUrwu\"},\"addresses\":[\"abc88f8029243cff49743f3038abf37f9958e61c\"],\"encPrivKeys\":{\"abc88f8029243cff49743f3038abf37f9958e61c\":{\"key\":\"cNPFA8rBzgNL6BSzuGdWUc4fpeKtyz9tsdcJybJ7vnLbU10Pd47W/ppAtWcFLdZf\",
                \"nonce\":\"enFaua5W08Qbq6JhGlPH8YPw3BjR42DB\"}},
                \"hdPathString\":\"m/0'/0'/0'\",
                \"salt\":\"F9dFsUkPBz+P6FbqIWzq+lCdx6294kp0cxSqMUs2jKE=\",
                \"hdIndex\":1,
                \"version\":3
            }",
    "address": "0xabc88f8029243cff49743f3038abf37f9958e61c"
}
                
            

Ethereum BlockChain 실행시키는 명령어

                

geth --datadir D:\CustomProgramFiles\Ethereum\EthereumNet9802\Blockchain9802 --allow-insecure-unlock --http --http.api personal,eth,net,web3 --http.corsdoma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