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 네트워크의 시작과 규약

<- 참조 : 네트워크 강의

1. 네트워크 탄생 배경

물리학계에서 거시적 세계의 상대성 이론과 미시적 세계의 양자역학이 등장한 시대

양자역학의 핵심

2. 생태계에서 볼 수 있는 네트워크의 사례

생명중 가장 고도화된 네트워크의 사례 : 뉴런 네트워크

3. 네트워크의 이점

아래와 같은 이점을 알 고 있기 때문에 생명체와 인간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4.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분산 네트워크 방식패킷 통신 방식의 개발이 어우러져 인터넷이 등장하게 되었다.

5. 인터넷 네트워크의 성장과 규약

  • -> 네트워크가 연결되면서 인터넷 구조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 -> 전 지구적인 통신 인프라와 소형 컴퓨터의 보급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 -> 웹의 등장과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 하지만 네트워크가 전 지구적인 규모이다 보니,
    네트워크의 구조를 유지 하고, 원하는 노드끼리 원하는 통신 을 하기위해,
    규약(Protocol) 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1. IP :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프로토콜
    2. 네트워크는 링크와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노드가 원하는 노드를 탐색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 노드가 전체 노드에서 구별되는 노드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i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 참여한 노드를 유일하게 식별 할 수 있게 해주므로써,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고, 원하는 노드를 찾아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도와준다.

    3. TCP :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4. 분산 네트워크 방식에서 여러개의 경로를 통해서 목적지에 도착합니다.
      이들 패킷은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으며, 훼손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패킷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TCP 입니다.

    TCP 와 IP 는 인터넷을 이루는 두가지 측면을 지원함으로써 인터넷이 원할하게 작동하도록 도와줍니다.